목차
I. 실험목적
II. 실험원리 (이론)
1. 원생생물이란
2. 원생생물의 소기관
3. 원생생물의 중요성
4. 원생생물의 상군(upergroup)
5. 독립 영양 생물과 종속 영양 생물의 구분
III. 실험재료와 방법
1. 실험 재료
2. 실험방법
IV. 실험결과
V. 고찰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01. 실험목적
: 실험원리(이론)에서 원생생물이 무엇이고 그 종류가 무엇이며 어떤 기준으로 분류하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원생생물의 중요성과 구조를 파악한다. <원생생물 관찰> 실험1을 통해 이론에서 학습한 다양한 종류의 원생생물을 관찰하고 그 구조를 확인한다. 실험2에서는 자연에서 채수한 흙탕물에 어떤 원생생물이 있는지 관찰하고 그 실험1을 기반으로 종류를 밝힌다.
02. 실험원리 (이론)
– 원생생물이란
: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은 영역(domains)이라는 중요한 3상위집단으로 생물을 나누는 데에 동의한다. 아래 사진처럼 생물의 3영역인 박테리아영역, 고세균영역, 진핵생물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진핵 생물은 진핵 세포를 가지는 생물을 말한다. 진핵 세포는 세포질 구조가 거의 없는 원핵 세포와는 달리 세포질이 매우 구조적이며 핵과 세포막 사이에 다수의 단백질 필라멘트가 서로 연결된 구조인 세포골격을 가지고 있다.(미생물학 백과)
원생생물은 보통 1개의 핵을 가진 단세포생물로서 가장 원시적인 생물을 말한다. 원생생물은 수많은 다양한 생물군을 포함하고 있어 일반적 특징을 찾기 어렵다. 이는 편모충류나 편모조류가 원생생물이면서 원시적인 식물로도 분류되는 경우를 통해 알 수 있다. 생물학자들은 모든 원생생물을 원생생물계로 분리해왔으나 현재 이들은 진핵생물 영역 안에서 여러 개의 계에 속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그룹들 사이 진화적 관계를 아직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관계로, 균, 동물, 식물계에 속하지 않는 진핵세포를 원핵세포라고 부르는 것이 편리하다. (캠벨 334p)
대표적인 원생생물로 운동성이 있는 생물에 편모충, 아메바, 짚신벌레 등이 있고 광합성을 하는 조류성 원생생물에는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유글레나가 있으며 다세포로 이루어진 원생생물에는 녹조류, 홍조류, 갈조류 등이 있다.
– 원생생물의 소기관
: 원생생물에는 여러 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소기관에 위족, 섬모, 편모, 식포, 수축포 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