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 생물학실험1 결과보고서 [13주차 DNA 구조의 이해] (점수 10/10, 에이쁠)

목차

01.실험목적——————————————-3p
02.실험원리 (이론)———————————3~6p
03.실험재료와 방법———————————–7p
04.실험결과—————————————-8~9p
05.고찰———————————————–10p
06.참고문헌——————————————10p

본문내용

01.실험목적
: 이론에서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DNA의 구조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DNA모 형세트를 조립하면서 DNA의 이중 가닥 구조를 이해한다.

02.실험원리 (이론)
– DNA란
DNA의 정의 : DNA는 Deoxyribo Nucleic Acid의 약자이다. DNA는 자연에서 존재하는 2종류의 핵 산 중에서 디옥시리보스를 가지고 있는 핵산으로 유전자의 본체를 이룬다.

<세포 속 DNA>

뉴클레오티드 : DNA나 RNA 같은 핵산을 이루는 단위체이다. 뉴클레이도티드는 염기 1개, 5탄당 1개, 1개 이상의 인산으로 구성된다. 뉴클레오티드를 구성하는 염기에는 크게 2개의 계열이 있다. DNA의 염기의 경우, 퓨린계에는 아데닌(A)와 구아닌(G)가 속하고 피리미딘 계열에는 사이토신(C), 티민(T)이 속한다. RNA의 염기의 경우 DNA의 염기와 비슷하나 피리미딘 계열에 티민(T)이 아닌 우라실(U)가 속한다.
뉴클레오티드의 종류는 이를 구성하는 염기와 5탄당 종류, 결합한 인산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염 기와 5탄당만 존재하고 인산이 없는 물질을 아래 사진에 나타났듯이 뉴클레오시드라고 한다. 뉴 클레오티드는 중합반응을 일으켜 핵산을 형성한다. 5탄당 중 디옥시리보오스를 가지고 있는 뉴클 레오티드인 디옥시뉴클레오티드는 DNA를 형성하는 반면에 리보오스를 가지는 리보뉴클레오티디 는 RNA를 만든다.

<뉴클레오티드 구조>

-DNA 속 염기 간 결합
: DNA 속 염기는 A와 T, C와 G가 상보적 결합한다. 이들 사이의 결합은 약한 결합인 수소결합이 다. A와 T 사이에는 두 곳에서 수소결합이 형성되고 C와 G 사이에는 세 곳에서 수소결합이 형성 된다. 그리고 DNA 이중나선은 두 가닥이 역평행으로 연결된다. 역평행이란 두 개의 생체 고분자 가 서로 평행하지만 반대 방향을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역평행 DNA 가닥은 질소 염기쌍 이 수소 결합으로 인해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만약 DNA가 평행했다면 염기 사이의 수소 결합이 불가능할 것이다.

-샤가프의 법칙
: DNA의 디옥시뉴클레오티드 조성에 대한 규칙성을 나타낸 법칙이다. 이 법칙은 염기인 아데닌과 티민의 함량이 항상 같고 구아닌과 사이토신의 함량이 항상 같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A+G=C+T라는 관계가 성럽하고 이는 DNA에서 퓨린계 염기와 피리미딘계 염기가 같은 양으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 법칙은 윗슨과 크릭이 DNA 이중나선구조 모델을 유도하는 데 영향을 주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