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실험목적——————————————–3p
02. 실험원리 (이론)———————————-3~9p
03. 실험재료와 방법——————————10~11p
04. 실험결과————————————–12~14p
05. 고찰——————————————-15~16p
06. 참고문헌——————————————16p
본문내용
01. 실험목적
: 수의적 반응과 불수의적 반응을 비교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 차이를 확인한다. 그리고 무릎반사 현상을 관찰하여 반사활동의 방식을 이해하고 신경반사속도를 계산한다.
02. 실험원리 (이론)
– 신경계
: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된다.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대해 알아보자.
① 중추신경계 : 뇌와 척수이고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맡는다. 연합뉴런으로 구성된다. 수용된 자극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판단해 반응을 명령한다. 중추신경에는 뇌와 척수가 있다. 뇌는 우리 몸의 움직임과 행동을 관장하고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며 인지, 감정, 기억, 학습기능을 담당한다. 이는 머리뼈 안쪽에 위치하고 이를 구성하는 최소단위는 신경세포인 뉴런이다. 뇌는 두개골과 뇌척수막에 쌓여 있고 뇌 아래로는 척수와 연결되어 있다. 그 안에는 뇌척수액이 흐른다. 뇌는 대뇌, 소뇌, 뇌줄기로 나뉘는데 뇌줄기는 중간뇌, 뇌교, 연수로 구성된다. 이러한 뇌줄기는 대뇌반구와 소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지칭하고 수많은 신경섬유로 구성된다.
뇌의 구조기능
대뇌정신활동
간뇌체온, 혈당, 삼투압 조절
중뇌눈의 운동 조절
연수호흡, 심장박동, 소화운동 조절
소뇌신체 균형 유지
뇌는 크게 운동 조절 기능, 감각인식과 해석기능, 언어전달기능, 항상성 유지, 학습과 기억 기능, 호르몬 분비 기능을 수행한다.
(1)운동 조절 기능 : 대뇌 피질에서 운동에 대한 명령을 뉴런을 통해 보내면 이는 뇌줄기와 척수를 통해 근육으로 전달되어 수의적 운동을 수행하게 한다.
(2)감각 인식 및 해석 기능 : 감각기관을 통해 전달된 자극을 대뇌 피질에서 받아들이고 이를 처리하여 느끼도록 한다.
(3)언어전달기능 : 대뇌피질에서 수행되고 전두엽의 브로카는 언어의 발성, 측두엽의 베르니케 영역은 언어의 이해를 담당한다.
(4)항상성 유지 : 간뇌 시상하부는 항상성의 중추로 자율신경계 조절과 호르몬 분비를 통해 신체의 대사를 조절한다.
(5)학습과 기억기능 : 대뇌의 측두엽이 학습능력과 기억 기능을 결정한다.
(6)호르몬 분비 기능 : 뇌하수체에서 주로 수행되고 여기서 생성된 호르몬은 신체의 생식과 대사를 조절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