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1) 내적 타당도
2) 외적 타당도
2. 내적 타당도 저해요소
1) 내재적 요인
(1) 우연한 사건
(2) 성숙효과
(3) 시험효과
(4) 측정도구의 변화
(5) 실험 도중 탈락
2) 외재적 요인
(1) 표본선정의 편중
(2) 통계적 회귀
(3) 모방
(4) 실험변수 유출
3. 외적 타당도 저해요소
(1) 표본의 대표성
(2) 조사의 반응성
(3) 플라시보 효과
본문내용
어떤 조사 설계가 적합한가는 측정결과가 과연 타당도가 있는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실험조사의 타당도(validity)은 측정한 값과 대상의 진정한 값과의 일치 정도를 의미하며, 조사하고자 하는 개념을 얼마나 정확하게 조사해내는가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조사의 타당도는 해당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과 측정도구와의 일치 정도에 관심을 가지는 것인데,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이 언제나 조사자에 의해 명확하게 객관적인 관찰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실험조사의 타당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로 구분된다.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는 상충관계(trade-off)를 가지므로 두 유형의 타당도를 동시에 높일 수는 없고, 내적 타당도를 높이려면 외적 타당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고, 역으로 외적 타당도를 높이려면 내적 타당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연구자는 연구목적과 내용 및 방법에 따라 두 유형의 타당도 중 어느 타당도가 더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