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는 학습과 교수를 하는데 중요요소로서 가르침과 돌봄을 수행하는 보육교사에게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목차

Ⅰ. 서론 (정서지능의 개념)

Ⅱ. 본론
1.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
2. 정서지능이 보육교사의 직무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I)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Mayer와 Salovey(1990)였다. 그의 출발은 인간의 정서가 인지적인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정서 또한 합리적 과정 안에서 인식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부터였다. 그들은 정서지능을 가리켜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과 느낌을 인식하고, 감정을 구별하고, 개인의 사고와 감정을 안내하기 위한 정보로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이다.”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이러한 초기 정의가 정서를 인식 및 조절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춰져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정서와 관련된 인지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그의 정의를 수정하게 되었고 Mayer와 Salovey(1997)는 “정서를 인지하고,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정서를 활용하고 정서와 정서의 의미를 이해하고, 정서와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라고 정서지능을 다시 정의했다.
이러한 정서지능은 많은 영역과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데, 특히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진다. 왜냐하면 보육교사의 높은 정서지능이 영유아와의 정서적인 교감을 가능케 하고, 그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긍정적 발달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관련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보육교사의 높은 정서지능은 영유아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문제 상황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하도록 돕는다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