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70년, 모더니티의 추구
2. 건축적 유전자의 변형복합체, 건축가 나상진
3. 서울컨트리클럽의 건축적 특징
4. 2011년 나상진+조성룡의 어린이 대공원 교양관
5. 시간의 연속선상에서 바로본 근현대건축
본문내용
“1960년대 초반 이전의 혼돈된 사회상황과 피폐된 경제의 극복이라는 공감대와 함께 시간적으로 30여 년의 차이를 두고 시작된 소위 모더니티의 추구, 기능주의, 합리주의의 건축들이 60년대 초반 한국 건축에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기술, 경제적 능력의 부족으로 건축의 형태나 디테일들은 조악하고 어색하였으나 건축기법에 있어서는 성실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현상은 60년대 후반 수적인 감소를 한 주기를 마치고 70년대 초반부터 80년대 까지의 급격한 수적 증가가 이루어 졌다.
이 시기를 특징지을 수 있는 것은 70년대의 국가개발 성장에 따른 속도감 있는 건설에 따른 수적 증가와 60년대라는 1차 적응기를 거치면서 볼륨감 있는 건축, 규칙적 입면, 장식의 배제, 문화로서의 건축이라는 모더니티를 추구한 건축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 건축 100년 중에서]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