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마음의 줄을 고르다. 북써머리, 요약정리

목차

1. 조현병의 역사
2. 조현병에 대한 오해와 편견
3. 조현병의 증상과 원인
4. 조현병의 진단
5. 조현병 치료방법

본문내용

1) 근대 이전
● 한의학의 정신병 용어: 전광이 대표적
● 한 대에 완성된 의서인 ‘황제내경 영추 전광편’에는 정서장해와 수면장해, 과대망상, 환청, 환시, 행동장해 등에 대해 상세히 기술됨
● 기원전 14세기 인도~1세기 고대 그리스, 로마와 인도에서부터 1세기 고대 그리스, 로마와 인도, 중세 유럽과 이슬람국가, 17세기 영국, 17-18세기 독일, 멕시코와 미국 동부의 자료에서 그 증거를 찾음

2) 고대 그리스와 로마 의학자
● 우울증, 섬망, 정신병 등을 구분했고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 정신병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음. 다만 조현병에 해당하는 기록은 찾을 수 없었음
● 죄전증이나 멜랑콜리아 등은 오래 전 문헌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조현병에 해당하는 기록을 찾을 수 없다가 19세기부터 유럽에서 급격히 늘어남

3) 조현병의 개념 성립
● 1672년, 토마스 윌리스라는 영국의사는 자신의 저서에서 현재 치마라고 번역되는 ‘dementia’를 논하면서 조현병과 비슷한 양상을 기술하였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