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간호진단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이름
민00
성별/나이
F/8
출생 시 몸무게
2.8kg
출산 및 신생아력
39주 C/S
질병명
천식(asthma)
1)내원동기 및 주호소
내원 3일 전부터 Rhinorrhea, Sputum가 나오기 시작하며, Cough 점점 심해지기 시작했음. 가랑가랑한 숨소리와 쌕쌕거리는 숨소리가 나타나고 있음. 숨쉬기 어려워하며 약간의 dyspnea보임. Cough와 Sputum 때문에 밤에 잠을 잘 못 자고, 잠을 자도 빨리 깨는 증상이 나타나고 있음. 내원 전날부터 열이 오르더니, 내원 당일 14:00 Fever 38.2°C까지 올라 새벽 02:00 본원 ER 통해 내원함.
2) 현병력
· 증상 : Cough, Fever, Sputum
· 처음 증상이 시작한 시기: 내원 3일 전부터 Cough와 Sputum가 나오기 시작했고, Cough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심해져 아이가 밤에 잠을 못 잘 정도로 Cough이 심해짐. 내원 당일 14:00 Fever 38.2°C 나타남.
✳ 어릴 적 알레르기성 비염과 먼지 알레르기 진단 받은 적 있음.
3) 진단검사
진단검사명
정상범위 또는 정상내용
결과
해석
WBC count
4~10×10³/㎕
▲15.72×10³/㎕
감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감염성 질환과 외부에서 들어오는 물질의 방어역할을 한다. 수치가 상승한 것으로 보아 감염의 징후라고
할 수 있다.
ESR
0~20 mm/hr
▲25 mm/hr
급성기 반응물질 중의 하나로 급성염증이나 만성염증의 지속상태임을 반영하는 지표로, ESR 상승 상태로 보아 몸 안에 염증성 반응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ymphocyte
20-40%
▲50%
림프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현재 염증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