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변수의 정의
II. 변수의 기능에 따른 종류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2) 통제변수
3) 매개변수
4) 외생변수
5) 억압변수
본문내용
I. 변수의 정의
변수(variable)는 개념을 측정 가능한 면으로 본 것으로, 개념이 가설의 진술에 사용될 때 그것을 변수라 부른다. 즉, 개념을 관찰하거나 측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면 개념은 변수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변수란 개념의 경험적 속성을 나타내며 그 속성에 계량적 수치를 부여하여 측정 가능한 개념을 나타내는 점이 개념과 구분되는 점이다.
변수는 한 연속선상에서 둘 이상의 값(value)이나 범주(category)를 가지는 점이 중요한 특징 이다. 예를 들어, 성별이라는 변수는 남성과 여성이라는 변수 값을 가지고, 학력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기타로 분류되는 여섯 가지의 값을 가진다. 또한 우울이라는 변수는 우울의 정도에 따라 1-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연령은 1-100세 이상까지의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변수는 연속성 여부에 따라 이산변수(discrete variable)와 연속변수(continuous variable)로 구분되며, 기능에 따라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통제변수(control variable), 매개변수(intervening variable), 외생변수(extraneous variable), 억압변수(suppressor variable)로 구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