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프로젝트2 금속 조직변태 A+ 예비레포트

목차

실험 목적

실험 이론
1. 순철과 탄소강
2. Fe-C계 평형상태도
3. 조성에 따른 조직변화
4. TTT곡선
5. CCT곡선
6. 로크웰 경도측정
7. 냉각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 목적 : 순철 및 0.4Wt%, 0.8Wt%의 탄소강을 각각 노냉, 공냉, 유냉, 수냉하여 냉각 속도에 따른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여 철강의 조직 변태와 그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이해한다.

실험 이론
1. 순철과 탄소강
1) 순철
(1) 순철의 성질: 탄소의 함유량이 0 – 0.025% 정도이므로 연하고 전연성이 풍부하여 기계재료로는 거의 쓰이지 않으나 전기 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2) 순철의 변태 : 동소 변태와 자기 변태
– 동소 변태: 순철에는 α, γ, δ철의 3개 동소체가 있는데 910℃ 이하에서는 α철로 bcc, 910 – 1400℃ 사이에서는 γ철로 fcc이며, 1400℃이상에서는 δ철로 bcc이다.
– 자기변태: 강은 강자성체이나 가열하면 자성이 점점 약해져서 768℃ 부근에서는 급격히 상자성체가 된다.

2) 탄소강
(1) 탄소강의 성질
①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
강은 순철에 가까운 ferrite와 cementite가 혼합된 것으로 비중, 열팽창계수, 열전도율은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나 비열, 전기 저항, 항자력은 증가한다. 또한 내식성은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소량의 Cu가 첨가되면 내식성은 급증한다.
② 기계적 성질
상온에서의 기계적 성질은 아공석강에서는 탄소함유량에 비례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변하여 인장강도, 경도, 항복점등은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공석강에서는 인장강도가 최대로 되며, 연신율 및 단면 수축율은 탄소량과 더불어 감소한다. 또한 과공석강에서는 cementite가 망상으로 나타나므로 인장강도는 탄소가 증가하여도 감소되나 경도는 증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