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간호과정/수면장애

목차

1. 간호 진단
2. 간호 사정
3. 간호 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자료

본문내용

간호진단
우울과 관련된 수면장애
수면장애 : 수면을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 또는 정상적인 수면-각성 주기의 변화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1)“우울하고 잡생각이 많아서 잠이 안와요.”
2)“밤에 못자니까 낮에 자고 계속 반복되니까 힘드네요.”
3)“잠이 들더라도 자주 깨고 깊게 안들어요.”

객관적 자료
1)Dx :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2)Phx : Depression, Anxiety
3)안절부절 못하는 모습 관찰됨.
4)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여 다크서클, 퀭한 눈 관찰됨.
5)낮 동안 피곤해하는 모습 관찰되며, 일과 대부분 시간에 낮잠을 청함.
6)낮잠 자는 동안에 조그만한 자극에도 쉽게 깸.
7)해밀턴 우울증 척도 24점 중간정도의 우울증 해당함.
8)불면증 심각도 지수 23점 심한불면증에 해당함.
9)밤에 누운지 2시간이 지나도 수면에 들지못한다고 말함.
10)수면 시 적어도 2번 이상은 깬다고 말함.

간호목표

장기목표
①대상자는 퇴원 시 수면 중 깨지 않고 편안한 숙면을 취한다.
②대상자는 퇴원 시 수면의 질이 향상된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5일 이내 수면 시 1회 이상 깨지않는다.
②대상자는 5일 이내 1시간 이내로 수면에 든다.
③대상자는 7일 이내 6시간 이상 수면을 유지한다.
④대상자는 7일 이내 만족스러운 수면을 취했다고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1.대상자의 수면 양상 및 시간을 사정한다.

간호중재
대상자의 수면 양상 및 시간을 사정하기 위해 주요 요소를 확인하였다.
·수면시간 – 하루에 3 ~ 5시간 가량 수면을 취함.
·수면 패턴 – 수면 취하기 위해 밤 10시 수면제 복용 후 눈을 감으나, 쉽게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기상시간도 규칙적이지 않다.
·수면의 깊이와 질 – 수면 시 조그만한 자극에도 쉽게 깨고 평소 수면 시 하루 3번 이상은 깬다고 대답함. 그로 인해 수면의 질 저하로 낮에 낮잠자는 모습 자주 관찰됨.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