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지사간 보건사업계획서 관련논문포함 남양주시보건소

목차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 SWOT 분석
3. 우선순위설정 – BPRS / PEARL
4. 목표설정 – 우선순위 사업명 : 건강증진을 위한 금연환경 조성
5. 전략 및 세부계획 수립
6. 근거제시 (최신 저널 및 정책)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리적 영역
– 북부생활권(도시화진행지역)
: 향후 3기 신도시 개발 예정지역, 서울 접근성이 좋음
– 남부생활권(도시화지역)
: 구리시와 접한 지역으로 광진구, 강동구, 송파구의 접근성이 좋음
– 동부생활권(관광농업지역)
: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개발제한, 노인인구 비율이 높고 의료기관이 부족
결론
– 북부생활권과 남부생활권은 대중교통이 발달되어있고 서울 접근성이 좋음
– 동부생활권은 개발제한구역으로 서울 접근성이 좋지 않고 노인인구 비율이 높고 의료기관 수가 부족함

인구학적 특성
– 2013년 이후 인구 증가율은 지속적으로 완만한 증가세
–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
– 유소년 부양비는 매년 감소하고 있고 노년부양비는 증가하고 있음
– 남녀 비율은 약 50%씩 차지하고 있음
– 인구이동현황은 2021년 기준으로 전입률 15.7%, 전출률 13.1%를 보인다.
결론
– 인구증가율은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저출산으로 노년층의 증가
– 인구구조는 도시형인 별형을 보임
– 출산율은 1.239로 출산장려 정책이 필요함

건강수준
– 경기도 흡연율 20.6%보다 남양주시의 흡연율이 21.1%로 더 높게 나타남
– 금연캠페인 경험률을 보았을 때 2019년 ~ 202년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21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연령별 보건소 이용률은 40대가 가장 많고 70대가 가장 낮음
– 만성질환 유병률은 34%로 치주질환이 가장 많음
– 사망원인 : 신생물>심장질환>폐렴>뇌혈관>고의적 자해 순으로 높음
결론
– 흡연률이 경기도 보다 높고 금연 시도율이 경기도 보다 낮음

환경특성
– 주택현황 및 보급률은 전국대비 낮은 편이며 2013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대기긍정평가는 66.7%, 수질은 61.3%, 토양 57.1%, 소음진동 50.4% 녹지환경 65.8%로 나타남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