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3. 질병 기술 및 환자 사정
1) 주 진단명
2) 질병 관련 병태생리
3) 질병 원인
4) 신체검진
5) 진단검사
6) 증상
7) 치료
4. 간호사정
1) 건강지각-건강관리양상
2) 영양-대사
3) 배설양상
4) 활동-운동양상
5) 수면
6) 인지 지각 양상
7) 자아개념양상
8) 역할-관계 양상
9) 성-생식 양상
10) 스트레스 대처 양상
11) 가치-신념 양상
5. 임상검사
6. 영상의학 검사 및 조직검사 등
7. 약물
8.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시간에 따라 발견된 간호진단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
2) 간호과정
본문내용
2) 질병 관련 병태생리
항목
질병의 병태생리
질병 관련 병태생리
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에는 위 선암, 림프종, 위 점막하 종양, 평활 근육종 등이 있다.
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막층에서 발생한 위암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육층, 장막층을 지나 주변 장기로 퍼지며 위 주변의 림프절로의 전이 또는 혈류 영향에 의해 간, 폐, 뼈 등의 여러 부위로 퍼질 수 있다. 조기 위암은 암의 림프절 전이와 관계없이 암세포가 점막층이나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이다. 진행성 위암은 암이 위의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이상으로 뚫고 들어간 경우이다. 이 경우, 암이 위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암의 병기는 환자의 예후를 판정하고 향후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하다. 위암의 경우, 수술 후 위벽으로의 침범 정도, 위 주변 림프절 전이 여부 및 정도, 다른 장기로의 전이에 따라 병기가 결정된다. 1기 a, 1기 b, 2기 a, 2기 b, 3기 a, 3기 b, 3기 c, 4기로 나뉘며 숫자가 높아질수록 예후가 좋지 않다.
질병과 관련하여 실제 환자에게 나타난 병태/생리 상태
OOOO.OO.OO.에 AGC로 진단받은 이후 2022년 5월에 진단 시 암이 복강 내, 간, 난소로 전이되었다.
현재 환자의 암 병기는 4기이다.
3) 질병 원인
항목
원인
질병 유발 요인, 위험요인
1. H. pylori 감염
: H. pylori균이 만든 대사산물이 위점막을 만성 염증 상태로 만들어 세포 증식과 활성 산소를 증가시켜 암을 발생시킨다.
2. 염산 결핍(achlorhydria)
: 악성빈혈, 위 용종, 만성 위축성 위염과 염산 결핍 시 위암 발생률은 2~3배 정도 높다. 염장 생선 또는 훈제 고기, 매운 음식, 과다한 소금, 질산염에 저장한 육류 등을 장기간 섭취하면 위축 위염, 이자 장애를 초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