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본문 비평
2. 자료 비평
3. 배경 연구
4. 양식 및 구조
5. 어휘와 문법적 분석
6. 신학
Ⅲ. 결론
본문내용
하나님의 절대주권은 그 범위에 있어서 이방 민족과 모든 피조세계를 포함한다. 또한 시간적으로 현재적 역사 뿐 아니라 미래의 역사까지도 포함한다. 이사야 45:1-13은 이 내용을 증언한다. 내적인 메시지의 독특함과 외적으로 해석의 중요성을 통하여 위의 내용을 살펴보자.
먼저, 내적인 메시지는 성경 전체를 통하여 독특성을 갖는다. 성경의 역사는 구속사이다. 구속사 가운데 이스라엘 백성은 선택된 민족이었다. 따라서 하나님의 역사는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시작되고 펼쳐진다. 다른 말로 하나님의 역사는 하나님의 백성들과 함께 이루어 갔던 역사였다. 하나님은 홀로 행하시기보다 종종 그의 백성들과 함께 당신의 역사를 이루어 가신다(고전 3:9; 고후 6:1). 특별히 선지서에서는 하나님께서 부르고 보낸 선지자들과 동역을 하신다. 하나님의 뜻을 알리고 백성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감당했던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고레스는 특징적인 인물이 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성경의 일반적인 역사의 패턴과 다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일반적으로 구원받은 그의 백성들과 일하신다.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에 반응하는 사람에게 그의 마음을 나누시고 함께 일하신다. 하지만 고레스는 하나님을 알지 못했던 이방 사람이었다. 그리고 역사에 의하면 고레스는 조로아스터교를 믿는 우상 숭배자였다. 그런데 하나님을 고레스를 선택하여 당신의 뜻을 이루는 도구로 사용하신다. 여기에 중요한 사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하나님의 절대주권에 관한 것이다. 하나님의 절대주권은 믿음으로 반응하는 사람들에게만 미치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모든 세계에 미친다. 따라서 성경의 역사는 일반 역사와 독립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을 포함한다. 하나님의 절대주권은 모든 피조세계와 역사 가운데 미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문은 이사야를 해석하는데 외적인 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전통적으로 이사야는 8세기 이전에 활동했던 선지자로 본다(주전 740-701).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