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_ 위장관 출혈 (Gastrointestinal hemorrhage)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식도정맥류’ _간경변증의 주요 합병증
Ⅱ. 기본정보
1. 일반적 정보
2. 입원 정보
3. 건강력
4. 신체사정
Ⅲ. 주요검사
1. 일반혈액학
2. 일반 생화학
3.혈액응고검사
4. ABGA
5. Vital sign
6. I/O
7. GI bleeding 관련 검사
8. 치료 계획
Ⅳ. 사용약물
Ⅴ. 간호과정
1. 자료 조직
2. 간호진단
3. 우선순위 결정
Ⅵ. 간호중재
본문내용
>정의
위장관 출혈은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이 손상되어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합니다. 위 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상부 위장관 출혈과,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하는 하부 위장관 출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원인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중에는 소화성 궤양이 50% 정도로 가장 많습니다. 그 밖에 식도 정맥류, 스트레스성 궤양, 미란성 위염 등의 급성 위점막 병변, 위암 등이 있습니다.
>증상
출혈의 정도와 그 속도에 따라 신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 가슴 두근 거림, 어지러움, 토혈, 호흡 곤란, 실신, 쇼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변이 검고 짜장면 색과 같은 대변을 보이는 반면, 하부 위장관 출혈은 주로 변기에 피가 보이 는 혈변이 나타납니다.
>진단
내시경 검사는 출혈 부위, 출혈 병변의 상태, 양상, 노출 혈관의 유무를 확인하고 진단하는 데 가장 중요하고 정확한 검사 방법입니다. 출혈 시 정확한 실혈량을 측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출 혈의 정도를 혈압, 맥박의 변화, 출혈의 양상, 혈변의 색깔과 함께 확인하면 출혈 부위를 짐작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적절한 특수 검사를 선택하고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치료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 원인을 제거하는 지혈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합니다. 출혈이 계속되거나 재출혈의 위험이 있으면 내시경적 지혈 요법, 방사선 중재 시술을 통한 색전술 시술, 수술 요 법이 필요합니다. 활동성 출혈이 없는 경우에는 출혈 후 24시간 이내에 내시경 검사를 시행합 니다. 내시경 검사의 목적은 출혈 부위, 출혈 병변의 상태, 출혈 양상, 노출 혈관의 유무를 확 인하고, 지혈하는 것입니다. 내시경적 지혈 요법으로는 출혈 부위에 약물을 직접 살포, 주입하 여 출혈 혈관을 막거나 혈액을 응고시켜 지혈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