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 case (자궁경관무력증) 간호진단 3개포함

목차

1.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합병증

2. 대상자 정보
1) 일반 정보
2) 건강력
3) 임신출산력

3. 입원 정보
1) 산과관련정보
2) 활력징후
3) 통증기록
4) 주관적 산과정보
5) 검사결과
6) 투약정보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 자궁경부무력증 (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IIOC)]
(1) 정의
자궁 경부란 흔히 말하는 자궁문을 이야기하며, 임신의 유지 및 분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으로는 임신 기간 동안 태아와 자궁 크기의 변화와 상관없이 단단하게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그 후 임신 말기나 분만 시기가 되면 자궁 경부는 부드러워지고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분만에 용이하도록 변화하게 됩니다. 그러나, 임신 중반기에 자궁 경부가 이러한 역할을 유지하지 못하면 자궁 문이 열리게 되고 그로 인해 양막이 파열되거나 태아가 배출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통증 없이 발생 했을 경우 자궁경관무력증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연 유산이나 습관성 유산 및 조산의 주요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 모든 분만의
0.05~2% 정도입니다.

(2) 원인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선천적인 경우나 자궁 경관이
손상을 받은 기왕력이 있는 경우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자궁 경부암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 자연 또는 인공 유산 시에 시행하는 소파수술 기왕력이 다수 있는 경우
– 자궁경부에 선천적으로 이상이 있는 경우
– 자궁 경부를 약화시키는 호르몬에 선천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
– 조기 분만 또는 과거력 상 임신 중기 조기 분만한 경우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