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case (뇌경색) 간호진단 3개포함됨. 한의학적 사정 포함됨

목차

Ⅰ. 문헌적 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예후/합병증
6. 양방치료
7. 한방 치료

Ⅱ. 자료수집
1. 간호력
2. 건강정보
3. 신체검진
4. 임상검사 소견
5. 낙상위험검사
6. 망문문절/ 설진
7. 사상체질
8. 투약 처방
9. 침구 혈자리 및 한방행위

Ⅲ. 간호과정 적용
1. 의미 있는 자료수집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및 중재

Ⅳ. 참고문헌

V. 교육자료

본문내용

Ⅰ. 문헌적 고찰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1) 정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 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다. 이 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되고,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이라고 한다.

2)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 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 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그 외에 심장부정맥, 심부전 및 심근경색 의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생성된 혈전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서 발생하기도 한다.

3) 병태생리
-뇌혈전증
고혈압이 있는 환자들은 혈관 내벽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며 고지혈증까지 동반되면 혈관은 아주 위험한 상태가 됩니다. 동맥경화증이 생기며 혈관 내벽이 두꺼워 지면서 혈관의 내경이 좁아지게 됩니다.

<중 략>

현병력 (입원 기록)
– 2018년 여름 경 양팔 소력감 및 떨림 증상 발생하여 local visit. Steroid inj Tx 경과 관찰하던 중 2018 10. 몸 가누지 못하고 왼쪽으로 쏠리는 증상 발생. Brain damage 의심하여 2018.10.18. NS visit 당시 compression Fx Osteropoosis 관하여 재활 치료 후 2018.12.3.-2019.2.2. 본과 Adm Tx 후 자가 보행 가능한 채로 퇴원하여 cane 자가보행 가능하던 중 2020.10.2. 특이 trauma Hx 없이 양손 떨림 및 몸 가누지 못하여 보행 불가능해지고 숨이 들이 쉴 때 악화되는 back pain 발생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