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학교 에리카 일반물리학실험2 / 1. 멀티미터와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 실험 데이터 (A+)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 및 원리
4. 장치 및 방법
5. 실험 결과
6. 분석 및 토의
7.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3-3)저항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로 도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세기 성질에 해당한다. 도체의 저항은 두 점의 퍼텐셜 에너지 차이가 V일 때 흐르는 전류 i를 측정하여 결정되며, 이때의 저항 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V/i
저항의 SI단위는 V/A이며 Ω(ohm) 으로도 표현한다. 또한 저항은 도선의 길이 L에 비례하고 단면적 A에 반비례하는데, 이를 통해서 아래의 식과 같이도 표현이 가능하다.
R=ρ L/A (ρ: 비저항)

토의 6-2. 옴의 법칙 유도
옴의 법칙은 V=IR로도 표현되지만, J=σE(J: 전류밀도 σ:전기전도율,E:전기장)으로도 표현되는데, 해당 식의 유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앞서 전류는 단위시간당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전하량의 변화로 정의 된다고 하였다. (I=∆Q/∆t) 여기서 우측 항의 분자인 전하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qN_e (∆tvA)
위의 식은 단위 시간 동안에 일정한 부피 안에 들어있는 전하의 총 개수의 변화로 볼 수 있는데, ∆tv가 거리를 의미하며 면적A를 곱해주면 부피가 되고 N_e는 전하의 개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해당 식에서 양변을 ∆t로 나눠주게 되면 전하의 전류의 정의에 대한 식이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된다.
I=∆Q/∆t=qN_e vA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