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심부전
2.만성신부전
3.울혈성심부전
4.수축성 기능이상으로 인한 심부전
5.확장성 기능이상으로 인한 심부전
6.심장성 원인
7.비심장성 원인
8.위험 인자
9.증상
10.진단
11.치료
본문내용
심부전 Heart Failure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의 이완 기능이나 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혈액을 신체 내에 효과적으로 순환시키지 못하게 되며, 신체 조직에 충분한 혈액 공급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태.
만성 심부전
– 심장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발생.
– 뚜렷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음.
– 증상이 점진적으로 나타남.
(이미지 삽입)
울혈성 심부전
– 심장이 혈액을 충분히 펌핑하지 못하여 혈액이 신체 내의 조직이나 기관에 더 많이 모여 울혈하는 상태.
– 심장의 기능적 저하로 인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며, 주로 폐에 혈액이 모이는 폐울혈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호흡 곤란, 기침, 천명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며 울혈성 심부전은 급성 혹은 만성으로 나타남.
– 대부분 초기에 좌심실 부전이 먼저 발생하고, 이 후 우심실의 부담이 증가되어 우심실 부전이 뒤따라 발생.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