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사회의 태움 문화

목차

1. 구상하기
2. 구성하기
3. 문단쓰기

본문내용

지난해 1월 5일 서울의료원에서 근무하던 서OO 간호사가 5년 동안 병동에서 일하다 행정 부서로 전과한지 12일 만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대해 간호사회는 “故서OO 간호사의 죽음은 단순한 자살이 아니다. 행정 부서 전과 후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심지어 직장 내 괴롭힘의 정황도 있었다.”라며 “병원은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관리할 책임이 있지만 그 책임을 다하지 않고 이런 문제들을 방임했다.”라고 비판했다. 따라서 간호사 사회의 악습에 대한 이해와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간호사 사회에서 오랜 시간 뿌리내린 악습인 태움 문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태움이란 무엇인가? ‘태움’은 ‘영혼이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에서 나온 말로, 주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 사이에서 쓰이는 용어로, 선배 간호사가 후배(신임) 간호사에게 교육을 명목으로 가르치는 과정에서 가하는 정신적·육체적 괴롭힘이나 따돌림 등으로 길들이는 규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영혼이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명목은 교육이지만 실상은 과도한 인격 모독인 경우가 많아서 간호사 이직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태움이라는 용어가 생겨난 근원을 알아보자. 사실 한국 사회에서 이런 폐습 자체는 오히려 없는 곳을 찾는 게 더 빠를 정도로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그리고 이런 악습은 소위 똥군기, 갈굼, 예절교육, 군대놀이 등으로 부르지만 간호사 사회에서는 이를 태움(burning)이라는 은어로 부른다.
태움이 생겨난 원인은 무엇인가? 간호사 태움, 전공의 폭행 같은 악습의 밑바탕에는 의료계의 구조적인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간호사라는 직업의 의료업무 특성상 조금의 잘못도 용납되지 않기 때문에 실수 없이 일하도록 간호사 간의 위계질서와 엄격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