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급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2.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MM)
3. 악성 림프종(Lymphoma)
4.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5.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본문내용
1. 급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정의-
급성백혈병은 조혈모세포가 악성 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여 말초 혈액으로 퍼져 나와 전신에 퍼지면서 간, 비장, 림프선 등을 침범하는 질병이다. 급성백혈병은 백혈병 세포의 종류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과 급성림프성백혈병으로 나뉜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은 가장 흔한 형태의 백혈병이며 주로 성인에게 발병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률이 증가한다(평균 진단 연령 60대 후반).
골수성백혈병은 골수나 말초 혈액에서 골수아세포가 20% 이상 차지하는 경우를 말한다. 골수에서는 암세포가 자라면 정상 조혈세포를 억제하여 조혈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백혈구증가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증상이 나타난다. 골수성백혈병 중 급성으로 나타나는 것을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라고 한다.
원인-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유전적 소인, 흡연, 방사선 조사, 화학 약품 등에 대한 노출, 항암제 등의 치료적 약제가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동기에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치료를 받았을 경우 위험 요인이 증가한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유전적 소인으로는 다운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급성백혈병 환자 가족의 발병이 알려져 있다. 그 외의 위험 인자로는 흡연, 방사선 노출(원폭 투하지역, 방사선 치료)이 있다. 또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화학 약품에는 벤젠, 페인트, 방부제, 제초제, 살충제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전자장 노출, 알킬화제 등의 항암제도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