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폐이형성증 case

목차

1. 대상자의 질병명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예후
7) 치료
8) 간호
9) 예방

2.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3. 내원동기 및 주호소

4. 현병력

5. 일상생활력

6. 간호진단 1) 비효율적 호흡양상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7. 간호진단 2) 빨기 능력 미숙과 관련된 영양부족

본문내용

기관지폐 이형성증(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1) 정의
미숙아 만성 폐질환이라고도 한다.
기관지폐 이형성증은 출생 직후 호흡곤란으로 인해 인공호흡기나 산소 공급을 받았던 신생아의 폐가 손상되어, 생후 28일 또는 재태주령 36주가 지나도 산소 공급이 필요한 상태를 의미한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 등에서 산소 투여기간이 비교적 긴 점 등을 고려하여 월경 후 주령 36주 또는 퇴원 시기에 환아의 상태를 보아 경증, 중증도, 중증으로 나누어서 분류한다.
대부분 미숙아에게서 발생하며, 발생 빈도는 출생 체중 및 재태주령과 반비례한다. 또한 보고에 따라 다르지만 출생 체중 1500g 미만 신생아의 경우 이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약 10~30% 정도라고 한다.

2) 원인
기관지폐 이형성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된다.
34주 미만에 출생하거나 출생 시 체중이 2kg 이하인 신생아의 폐는 취약하여 쉽게 손상을 받는다. 이러한 신생아는 폐 조직이 발달하지 못하고 호흡 부전이 나타나 생존을 위해 산소 공급이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는 폐의 손상을 유발하고 폐포 허탈로 진행된다. 그 결과 불충분한 호기말 양압에 의해 발생하는 무기폐, 기계환기로 인한 폐용적 증가, 국소적인 과패창들이 폐손상을 촉진시켜 더 많은 산소나 인공호흡기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그 외에 기관지폐 형성이상의 위험 요인으로는 계면활성제의 부족으로 오는 호흡 부전, 과대 수액 투여, 동맥관 개존에 의한 폐부종, 공기 누출, 무기폐, 폐 미성숙, 폐 감염, 비타민 A의 부족, 유전적 요인, 산소 유리기의 독성, 남아, 선천성 감염, 천식의 가족력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자궁 내 감염증이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3) 병태생리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병은 미숙아에게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기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여러 가지 합병증..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