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가족_한국의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의견을 서술해주세요.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저출산 문제
2) 대처방안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 사회의 출산율과 인구증가율은 1960년대 이후에 지속하여 감소하였다. 통계청 2017년 데이터 기준으로 보면, 한국의 총인구는 약 5,143만 명이며, 인구 증가율은 0.39%로 발표가 되었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출생아 수는 계속 감소하였고, 의료기술 발달로 수명 연장으로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즉, 인구피라미드는 소산 소사의 종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19세 미만 인구의 비율이 상당하게 낮으며, 60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한국은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저출산 문제와 이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해서 논하도록 하겠다.

2. 본론

1) 저출산 문제

2018년 말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에서 합계출산율이 0.96~0.97명으로 추산이 되었다고 발표를 하였다. OECD에 속해있는 35개국들 중 출산율이 0.9인 국가는 한국이 최초였다. 15~64세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73.4%를 정점으로 하여 2017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생산가능인구 비율이 급속하게 줄어드는 국면에 섰다. 이 부분으로 보아 현재 한국은 인구절벽시대에 사실상 도래한 것으로 보이며, 인구 추계에 따르면, 인구절벽시대는 2023년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예상보다 일찍 도달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