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이 어려운 이유
1) 사회적 요인
2) 학교 환경적 요인
3) 가정에서의 요인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 단계에 있어 사회 문화적인 요소를 강조했다. 청소년기 이후의 발달을 함께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발달 이론에 비해 풍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청소년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면, 에릭슨은 이 단계를 5단계로 설정하고 자아 정체감 대 역할 혼미의 단계라고 보았다. 이 단계에서 자아 정체감을 확립하지 못하면 계속해서 역할 혼미의 단계에서 머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에릭슨은 안나 프로이트와의 교류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구상했는데, 이 시기에는 사회적 요구와 생물학적 성숙이 최고조에 다르는 시기이기 때문에 많은 역동이 발생하고, 특수 발달이라는 과제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청소년기의 여러 문제는 생물학적 문제와 더불어 사회와 문화에서 요구하는 가치에 대한 갈등이 함께 두드러지며, 청소년은 아동도 성인도 아닌 중간 단계의 애매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강조했다.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내가 누구이고, 이 사회에서 나는 어떤 위치를 갖고 있다’라는 개념, 자아정체감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수많은 가능성과 불분명한 역할을 포괄하는 역할 혼미의 위기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찾는 시기라는 점을 주장했다. 에릭슨은 이 시기를 대체로 무의식 중에 지나간다고 주장하였지만, 점점 이 시기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지나가지 못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