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전쟁의 의미
1) 전쟁의 의미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글로벌 리더십
(3) 국제 평화를 위한 전략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텔레그램의 ‘집으로 가는 길’에 1만 5천 명이 가입했다고 한다. 1년이나 됐으면 이제 집으로 보내달라는 거리 시위가 전개되고 있다고 한다. 러시아의 이야기다. 지난 2022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전국에 부분 동원령을 내렸다. 그런데 이 전쟁이 2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러시아 내부에서는 군대에 동원된 남편과 아들을 이제 돌려달라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들은 아직까지는 ‘병력 교대’만을 요구하지만, 일부는 이번 전쟁에 대한 폭넓은 문제 제기를 시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니 정부에서도 이에 대한 강경 대응보다는 설득과 회유로 대응하고 있다고 한다. 1990년대 체첸 공화국과의 전쟁을 평화협정으로 끝냈던 것의 원인에 ‘군인 어머니들의 반전운동’이 영향을 미쳤던 것을 생각해 보면, 이 시위가 반전 시위로 이어지는 것은 러시아 정부가 생각하는 가장 최악의 경우의 수가 될 것이다.
필자는 이 뉴스의 기사를 보면서 과연 정당한 전쟁이라는 것은 존재하는가? 세계화로 인해 우리 모두가 ‘지구촌의 한 가족’이라고 설명하는데, 정말 그 지구촌의 한 가족이라고 하는 것이 유의미한 담론인가? 하는 여러 의문이 생겼다. 이에 본 글에서는 정당한 전쟁이라는 것이 가능한지, 이러한 입장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살펴보고 글로벌 리더로서 국제 평화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지 논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전쟁의 의미
1) 전쟁의 의미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계’, 누구나 꿈꾸는 이상향이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의 대부분은 평화로운 세상을 맞이하게 되었다. 하지만, 거의 언제나 전세계에서는 전쟁이 일어나고 있고 인류 역사 최초부터 계속해서 희망했던 평화는 사실상 이상향에 가깝지, 평화가 제대로 안착한 시기는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세계의 역사를 배운다는 것은 사실 전쟁의 역사를 배우는 것과 마찬가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