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관리론_신제품 중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각각 선택해 성공요인과 실패원인 분석 (단, 동일한 제품군에서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각각 선택해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현대자동차 실패사례 : 아슬란
1. 시장상황
2. STP 분석
3. 4P 분석
4. 실패요인

Ⅲ. 현대자동차 성공사례 : 제네시스
1. 시장상황
2. STP 전략
3. 브랜드 전략
4. 4P 분석
5. 성공요인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신제품 성공사례와 실패 사례로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와 아슬란으로 선정했다. 제네시스는 국내에서 고급차 시장을 열면서 특히 미국 북미 시장에 수출하는 차량으로 독일이나 일본에서 선점한 준럭셔리 시장을 공략하는 데 성공한 사례로 볼 수 있다. 반면 아슬란은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킬러를 외치며 호기롭게 등장했지만 존재 의미를 잃어버리면서 제대로 망해버린 역대 가장 빨리 단종된 현대차로 남겨진 실패 사례에 해당하여 아슬란과 제네시스의 사례에 대해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을 분석해 봤다.

Ⅱ. 현대자동차 실패사례 : 아슬란

1. 시장 상황

아슬란은 프로젝트명 ‘AG’로 개발된 아슬란은 2014년에 출시되었는데 당시에는 수입차가 나날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할 정도로 잘 팔리던 시기였다. 폭스바겐, BMW, 벤츠 등 독일 브랜드 차들이 저배기량 디젤 파워트레인을 장착한 엔트리급 사양을 공격적으로 출시하면서 수입차를 선택하는 비중이 많이 늘어났다. 차량 판매기준으로 보면 2011년 기준 수입차의 판매실적이 105,037대였는데 2014년 신규 수입차 판매실적은 196,359대로 약 87% 증가했다. 이렇게 수입차 판매가 많이 증가한 것은 수입차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며 기존에 국산차를 보유했던 소비자들도 이탈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2. STP 분석

1) 시장세분화(Segmentaion)
당시 국내 시장은 1차적으로 수입차와 국산차로 나누고 국산차는 준중형, 중형, 준대형과 같이 배기량 기준으로 나뉘어 있었다.

2) 타겟팅(Targeting)
아슬란을 출시하면서 소비자의 1차 타겟팅은 당시 전륜구동 프리미엄 세단 렉서스 ES, 아우디 A6 등 수입차를 경쟁모델로 설정하며 구매력 있는 중장년층 소비자를 타겟으로 했다. 대표적으로 현대차 그랜저나 기아차 K7 타던 소비자들이 다음 차로 수입차를 선택하는 사례가 많아지자 현대차에서 이에 대해 수입차로의 고객 이탈을 막고자 한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