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과정및교수요목설계_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 분석 보고서 (여러 한국어 교재 중 하나를 선정하여 단원 구성표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수업 방식과 교재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연세한국어6』 분석
(2) 수업 방식과 교재 구성에 대한 분석

III.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도 모국어와는 그 특징부터 아주 다를 수 있는 외국어를 배우는 이유 말이다. 아마 다수의 사람이 그 이유로 ‘의사소통’을 꼽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의 한국어를 배우는 목적 역시 모두 ‘대화’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의 등급별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비계의 역할을 충실히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필자는 시중의 한국어 교재 중에서도 『연세한국어 6-1』과 『연세한국어 6-2』를 통해 화법 능력을 기르기 위해 어떤 교육이 실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수업 방식과 교재 구성에 대한 돌아보기를 전개해 보고자 한다.

2. 본론

(1) 『연세한국어6』 분석

사실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등급별 평가 기준에서 말 문화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하지만, 굳이 필자가 그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한국에서는 말 문화적 소통이 대화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언어가 그 나라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데에는 그것이 굳이 한국어가 아닌 어떤 언어라고 하더라도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겠지만, 우리 말에서는 소통에 어려움을 겪지 않기 위해 대화로 소통하는 말 문화에 대한 능력이 필수적이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다. 친구들과 함께하는 아주 가벼운 식사 자리에서 배가 부르도록 식사를 마쳤다고 하자. 이를 보고 친구가 ‘더 먹어 봐.’라고 제안하였을 때 ‘싫어, 나 배 불러.’라고 한다고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것이 정중한 식사 자리에서 ‘더 드세요.’라는 권유에 ‘싫어요! 저 배 불러요!’라고 해 버리면 무례한 소통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실수는 화법 소통의 실패를 가져올 수밖에 없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말 문화의 차이에 대한 인식피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