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교육철학, 교육행정에 대한 이해

목차

1. 교육사회학
2. 교육철학
3. 교육행정

본문내용

<1> 교육사회학

1. 학력상승이론
가. 기술기능이론
– 사회가 고도화될수록 학교는 고도화된 사회에 인력을 공급해 주는 곳이므로 학력이 상승한다.
– 과잉학력현상 설명 불가
나. 지위경쟁이론
– 학력이 사회적 지위를 얻는 수단이기 때문에 높은 학력을 얻으려는 경쟁
– 선별이론, 신호이론, 선발가설이론
다. 학습욕구이론
라. 마르크스이론
마. 국민통합론
바. 세계체제론
사. 교육제도자율성이론

2. 콜린스 이론(갈등주의자)
가. 지위경쟁이론 : 개인의 지위 상승에 초점
나. 지위집단이론 : 집단의 지위 상승에 초점
다. 지위문화이론 : 대학문화가 지배계급문화(자본주의)
라. 기술기능이론

3. 교육평등관
가. 콜맨(=훗센)
– 보수주의 평등관 : 복선제
– 자유주의 평등관 : 단선제
– 보장적 평등관 : 스타트 프로그램
나. 김신일
– 허용적 평등관
* 자유주의 평등관
* 능력에 따른 기회균등
– 보장적 평등관
* 보장교육(학비보조, 무상교육), 장애물 제거
– 조건의 평등관
* 학교의 환경을 평등
– 결과의 평등관
* 보상교육
다. 소수인종우대정책
– 농어촌학생 특별전형
– 지역할당제
– 목표는 학업 성취의 다양성

4. 학업성취연구
가. 콜멘보고서
– 가정배경 > 교사의 질, 학생들의 동료적 관계 > 물리적 환경

5. 자본
가. 경제자본 : 돈
나. 인간자본 : 개인능력(지식)
다. 문화자본
라. 사회자본 : 타인과의 접촉
마. 물질자본 : 기계, 장치

<2> 교육철학

1. 교육철학의 기능
가. 분석
나. 통합
다. 사변
– 관념철학, 이성철학
– 사변 : 생각, 사고
라. 평가

2. 교육의 정의
가. 정의 분류
– 서술 : 가치중립 / 지식 / 습관형성 / 행동의 변화 / 경험의 재구성 / 문화획득
– 강령
– 규범 : 가치지향 / 주입 / 주형 / 성장/ 도야 / 계명 / 자아실현
– 약정
– 조작
– 명시, 어원, (사전
나. 분석적 정의 : 예) 교육은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이다. / 단어 하나 하나를 분석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