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특수아 장애 종류 및 장애별 특성
(2) 장애 아동 부모의 역할 기술
(3) 지속적인 장애아 부모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
(4) 부모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정 내 장애를 가진 아동이 있으면 비장애인 아동보다 부모의 역할이 훨씬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장애 아동은 주위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감정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을 가질 확률이 있다. 이때 장애 아동에 대한 부모의 교육이 굉장히 중요하다. 특히 아동기는 부정적인 자아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열등감이나 불안감을 없앨 수 있는 시기라서 더욱 중요하다. 본 리포트는 특수 아동의 장애별 특성에 따른 부모의 역할을 살펴보고 부모 교육의 중요성을 기술한다.
2. 본론
(1) 특수아 장애 종류 및 장애별 특성
특수아동은 자신의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해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아동을 말한다. 특수 교육은 능력을 고려하고 개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장애로 인한 ‘다름’에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비장애인과 비슷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특수교육법에 의하면 장애아동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각각의 특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장애인복지통합정보망 복지뱅크를 참고하였다.
① 지적장애 – 지적 기능과 적응 행동상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비장애인에 비해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을 겪는다. 1급은 지능지수 35미만, 2급은 40이하, 3급은 70이하로 분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