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통합교육_카우프만이 제시한 통합교육의 3가지를 제시하고, 보육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각각의 통합교육의 예를 제시하시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카우프만의 통합교육
1) 시간적 통합(물리적 통합)
2) 교수 활동적 통합
3) 사회적 통합
(2) 통합교육 사례
1) 시간적 통합(물리적 통합)
2) 교수 활동적 통합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4조(차별의 금지)조항에는 특수교육관련서비스에서의 차별, 수업, 학생자치활동, 그 밖의 교내외 활동에 대한 참여 배제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장애학생들의 교육활동 참여 배체를 금지하고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제21조(통합교육)에 의해 각급학교의 장은 통합교육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통합교육 계획을 수립, 시행하여야 하며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특수학급을 설치 운영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설비, 및 교재 교구를 갖추어야 한다고 법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렇게 특수교육법에도 법제화 되어있는 통합교육은 장애유아가 평등한 학습 기회를 제공받고 궁극적으로 사회적으로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카우프만이 제시한 통합교육 유형 3가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실제 보육 현장에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카우프만의 통합교육

1) 시간적 통합(물리적 통합)
카우프만은 통합교육의 첫 번째 유형으로 시간적 통합을 제시하였다. 시간적 통합은 물리적 통합으로 바꿔 쓸 수 있으며 일정 시간동안 장애가 없는 또래와 동일한 교육환경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