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학
2. 교육학
3. 심리학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팬데믹 이전에는 압도적으로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와 대면해 진료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대면 진료 내지 원격 진료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논의가 있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정부에서도 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팬데믹 상황에서 의료 기관, 특히 대형 의료 기관은 코로나 환자의 격리와 치료에 집중하게 되면서 일반 환자들의 진료가 어려워졌다. 개인 병의원은 코로나 감염을 우려해 진료를 꺼리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면서 환자 수가 급감하였다. 팬데믹 이전 3년 동안 건강보험 진료비는 매년 평균 9.5% 증가했는데, 팬데믹 직후인 2020년 상반기에는 전년 대비 0.3% 증가율에 그쳤다. 팬데믹의 영향으로 평균 증가율이 9.2%나 낮아진 것이다.
정부에서는 국민들이 팬데믹 상황에서 감염의 우려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원격 진료, 재택 의료 등 비대면 서비스를 허용, 적극 권장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