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들은 실천과정에서 다양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며, 자신이 클라이언트에 대해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내가 가진 편견과 차별적 행동
2. 편견과 차별적 행동이 많이 나타나는 상황이나 대상
3. 나의 자기주장 유형
4. 자기주장 변화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장훈련이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에서 자기 발표력 훈련, 자기표현 훈련, 주장훈련 등으로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Wolpe는 자기주장은 다른 사람에게 불안을 느끼지 않고 자기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Lazarus는 자기주장이 개인의 권리, 느낌 표출 등 모든 표현에서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를 정서적 자유라고 했고 자기 권리를 요구하는 것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까지 포함된다고 했다. Fensterheim은 자기가 어떠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리는 행동, 느끼고 생각한 대로 말하는 행동, 소극적인 것보다 적극적으로 생활에 접근하고자 하는 행동 등으로 정의했다. 우리나라에서 주장한다는 개념은 서양과 다르게 상대의 입장이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자기 입장과 사상을 강하게 고집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따라 상대의 인격, 권리, 입장 등을 이해하지 않고 상대 마음을 손상하도록 하는 행위를 공격적인 행동으로 규정하며 이상적인 주장 행동은 자기를 내세우지만 상대의 권리와 인격을 동시에 존중하는 행동으로 공감적 주장이어야 한다. 주장 행동은 상대를 불쾌하게 만들지 않고 상대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자기 권리, 생각, 느낌, 욕구 등 자기가 나타내려고 하는 것을 마음에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상대에게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행동을 의미한다.
Wolpe는 자기주장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것을 인간이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불안으로 인한 것으로 보았고 Eisler와 Hersen은 자기주장 행동 자체를 잘 모르기 때문으로 보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