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모음 체계와 모음 사각도의 공통점과 차이점
Ⅲ. 결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모음 사각도와 모음 체계 활용 단계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언어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음과 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은 말하기 기능의 기본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모음으로 모음이란 소리가 날숨에 실려 발화될 때 구강에서 통로의 막힘 이 없이 나오는 소리로 정의된다. 즉 성대의 진동을 받은 소리가 목 또는 코, 입을 거쳐 나올 때 그 통로가 완전히 막히거나 좁아지는 등의 장애를 겪지 않고 발음되는 소리이다. 모든 발음은 모음을 위주로 하여 앞뒤에 자음이 부가되는 형태를 가진다. 국제 음성기호에서도 세계 각국 언어의 모음을 유형화하여 구강 개폐정도, 입술의 둥근 정도, 혀의 높낮이 등에 따라 모음 문자표를 제시한 바 있다.
모음은 구강과 입술, 혀의 영향을 받으며 조음 위치에 따라서 구분된다. 모음은 나라별로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i], [e], [a], [o], [u]의 다섯 개 모음을 중심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