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의 건강상태
2. 질병과 관련된 자료
3. 진단적 검사결과
4. 약물
5. 간호진단, 간호과정(흡인의 위험성, 피부 통합성 장애, 변비)
본문내용
7)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모두 파악한 후 문제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해결 가능한 3가지를 선택 후 간호진단 내리고 간호과정을 작성한다.
(1) 간호문제(problem list)
#1. 위관영양과 관련된 흡인의 위험성
#2.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3. 부동으로 인한 장운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4. 사지 허약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2) 대상자의 간호과정
#1. 흡인의 위험성 : 위장계 분비물, 구강인두 분비물, 고체나 액체가 기관과 기관지 안으로 흡인될 수 있고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의식 수준 저하로 인해 주관적 자료 수집 불가능
객관적 자료
– 뇌출혈 후 dysphagia로 L-tube 유지 중
– 위관영양 후 누워 있는 것을 관찰함
– 의식 : deep drowsy ~ stupor
– v/s: 100/60- 104-23-36.5℃
간호진단-위관영양과 관련된 흡인의 위험성
간호계획(목표, 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단기목표:
1. 돌봄제공자는 2일 이내 흡인 증상 2가지, 대처법 2가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