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뇌졸중 Case Study(간호진단2개)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대상자 사정
3. 간호과정 2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뇌졸중 Stroke
1. 병태생리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CO₂와 젖산과 같은 대사산물을 제거한다. 뇌졸중은 동맥의 손상으로 뇌조직의 허혈을 일으켜 뇌기능을 손상시킨다. 뇌의 저산소증, 무산소증, 저혈당증은 허혈부위의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 및 조직을 경색.괴사시킨다.

2. 종류와 원인

구분
허혈성 (85%)
출혈성 (15%)
혈전성
색전성
뇌내출혈
거미막밑출혈
원인
죽상경화증, 고혈압
심방세동: 대동맥과 승모판질환,
심근경색, 죽상경화증
고혈압성 심혈관질환, 응고장애
뇌동맥류, 외상,
혈관기형
경고증상
TIA
(환자의 약 30~50%)
없음
두통(약 205%)
두통(흔함)
질병진행/예후
증상이 서서히 발현, 단계적 호전
갑자기 발생
24시간 이상 진행 시 예후가 나쁨,
혼수 시 치명적
갑자기 발생,
혼수 시 치명적
활동 관련
휴식 중에 발병
활동과 관련 없음
활동과 관련 없음
머리외상과 관련
의식수준
깨어 있음
깨어있음
무의식
무의식
경련
드묾
드묾
흔함
흔함
호전
몇 주에서 몇 달 후 호전
빠르게 호전되는 편
다양함
영구결손 가능성 있음
다양함
영구결손 가능성 있음
뇌척수액
정상
정상
혈액포함
혈액포함

1) 일과성허혈발작과 가역성 허혈성신경결손
– 일과성허혈발작(TIA)는 증상이 수분에서 몇 시간까지 계속될 수 있으나 24시간 내에 회복되는 경우이다.
일과성 허혈발작은 작은 색전이나 혈관연축으로 동맥이 좁아졌거나 혈관이 폐색되어 일시적으로 혈류가 차단되어 발생한다.
혈관을 수축시키는 약물도 TIA의 원인이다. 더 심한 신경학적 장애가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하는 것으로 TIA 경험자 중 11%는 90일 이내 뇌졸중이 발생한다. TIA가 발생하면 신체 한쪽 부분이 갑작스런 마비, 무감각, 불분명한 발음, 대화 불능, 실명이나 복시와 같은 시각장애, 혼돈, 균형이나 조정능력 감소, 두통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한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고 결손이 남지 않고 완전히 회복된다.
– 가역성 허혈성신경결손(RIND)의 증상은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3주 이내에 완전히 회복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