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이달의 생애
Ⅲ. 이달의 대표적인 작품 분석
1. 손곡집(蓀谷集)
2. 양양곡(襄陽曲)
3. 만랑무가(漫浪舞歌)
4. 반죽원(斑竹怨)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삼당시인(三唐詩人)이란 조선 중기 선조 때의 세시인 즉, 백광훈(白光勳) · 최경창(崔慶昌) · 이달(李達)을 가리킨다. 이들의 시를 삼당시(三唐詩)라고 한다. 고려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2백여년간 한시에 있어서 송시풍(宋詩風)을 따랐으나, 이러한 풍조를 배격하고 당시(唐詩)를 주로 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 이전에 정사룡(鄭士龍) · 박은(朴誾) · 박순(朴淳) 등에서 이러한 경향이 대두되다가 두드러지게 일파(一派)를 형성한 것이 곧 이들 삼당이었다. 이들은 정서면을 중시하여 좀더 낭만적(浪漫的)이고 풍류스러운 시를 쓰려고 했으며, 성조감각(聲調感覺)을 중시했다.
삼당시인 중 한 명인 이달은 한시뿐만 아니라 글씨로도 당시에 저명했으며 시 또한 청신하고 아름다워 신라와 고려 이후 唐詩 이해의 첫째라 했다. 명 나라의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그의 시를 읽고는 “이 시가 이태백(李太白)과 어찌 사이가 멀다 하리.” 하고 칭찬했다고 하며, 역시 명 나라의 전겸익(錢謙益)이 편찬한 책에 그의 시가 수록된 바 있다. 또한, 서얼 출신이라는 신분적 제약으로 벼슬길이 막히는 등의 불우한 자신의 처지를 시적으로 승화시켜 초월의 경지를 보여주는 《산사(山寺)》 《강행(江行)》과 같은 명시를 남겼으며, 당시 서민들의 누추한 삶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습수요(拾穗謠)》 등의 정감어린 시를 지어 오늘날에도 여전히 공감을 얻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국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이달의 생애를 정리하고, 그의 문학사상이 반영된 대표적인 한시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