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울장애
1. 정의
2. 소인
3. 우울장애의 하위유형
4. 간호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WHO에서 우울장애를 기분의 저하, 의욕이나 흥미의 상실, 죄의식이나 무가치감, 수면장애, 식욕의 변화, 에너지 및 집중력 저하를 보이며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2. 소인
1) 생물학적 요인
(1) 유전
• 일반인보다 주요우울장애 가족이 2~10배 높은 발생빈도를 보인다.
• 쌍둥이 발병가능성은 이란성 쌍둥이가 10~25%, 일란성 쌍둥이 50%이다.
(2) 신경전달물질
• 세로토닌(serotonin),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결핍
(3) 신경내분비계
• 코티솔(Cortisol) 분비가 증가
• 우울증 환자 1/3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분비 저하와 멜라토닌(melatonin)농도 저하가 발견되었다.
2) 인구 사회학적 요인
(1) 연령 및 성별
•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더 높고, 65세 이후부터 남성보다 여성이 좀 더 우울해진다.
(2) 결혼상태
• 결혼 스트레스는 우울증의 위험증가와 관련이 있다.
(3) 계절성
3) 심리적요인
(1) 프로이드(Freud) : 정신분석 및 정신역동이론
• 실제 또는 상징적 대상의 상실을 경험했을 때, 상실에 대한 분노와 무력감 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자신에게로 향하게 되는 것이 우울장애를 유발한다고 설명하였다.
(2) 보울비와 스피츠(Bowlby&Spitz) : 대상상실이론
• 유아기나 아동기에 초기 모자 간 애착관계에서 이별경험이 우울의 소인이 된다고 보았다.
(3) 벡(Back) : 인지이론
• 우울장애 대상자는 불행한 사건을 개인의 결점으로 인식하고 과거 경험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