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명목 척도화
2) 서열 척도화
3) 등간/비율 척도화
4) 소시오메트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척도구성(scaling)은 척도를 구성하는 절차로 숫자나 기호를 연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개념의 다양한 수준에 부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주요한 척도구성의 유형으로는 리커트(Likert) 척도화, 거트먼(Guttman) 척도화, 써스톤(Thurstone) 척도화, 소시오메트리(sociometry), 보가더스의 사회적 거리(Bogardus social dance), 의미분화(어의적 차이, semantic differential) 척도구성이 있다.
1) 명목 척도화
명목 척도는 한 변수에 포함되는 속성 값을 단순히 구분하여 측정대상의 속성에 부호나 수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명목적 수준에서의 척도화(nominal scaling)는 상호배타적이면서 포괄적인 성격을 가진다.
다차원적 명목 척도화에서는 응답범주를 구성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단일차원적으로 명목 척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