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를 인과관계로 조사하는 이유를 중심으로 하여 인과관계의 개념을 정리하고, 인과관계의 3요소에 대해서 개념을 설명하고 실질적인 예시를 들어라

목차

I. 인과관계의 개념

II. 인과관계의 3요소
(1) 공변성
1) 개념
2) 예시
(2) 시간적 선후관계
1) 개념
2) 예시
(3) 통제성
1) 개념
2) 예시

III. 인과관계의 입증논리
(1) 일치법
(2) 차이법
(3) 공변법
(4) 잉여법

IV. 인과관계와 필요조건-충분조건의 이해
(1)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아닌 경우
(2)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닌 경우
(3) 필요조건이면서 충분조건인 경우

*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인과관계의 개념

인과관계란 어떤 변수가 원인이 되어 다른 변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의미한다. 즉, 원인이 된 변수가 독립변수, 변화가 일어난 변수가 종속변수다. 사회과학(사회복지조사)에서는 대체로 이러한 인과관계가 결정론적이 아닌 확률적으로 표현된다.
왜냐하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조사과정 내의 변수 이외에도 여러 변수가 있을 수 있으며, 완전한 실험실 연구가 아닌 이상 다른 변수를 적절히 통제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앞의 사례인 소액신용대출 효과성 연구에서도 소액신용대출 프로그램이 빈곤계층의 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하더라도 소액신용대출만이 소득증가의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소득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사회과학에서는 결정론적인 표현을 사용하기보다는 확률적인 표현을 쓰게 되고, 그나마 독립변수 이외에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연구모형 이 바로 실험설계가 되는 것이다.

II. 인과관계의 3요소

인과관계가 성립되기 위한 요소로는 공변성과 시간적 선후관계, 통제성이라는 세 가지 요건이 성립되어야 한다.

(1) 공변성

1) 개념

공변성이란 원인으로 추정되는 변수(독립변수)와 결과로 추정되는 변수(종속변수)가 상호 연관을 가지면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이 두 변수 중 어떤 하나의 변수가 변화하지 않았다면 두 변수는 인과관계가 있다라고 말할 수 없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