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설계의 기본개념을 정리하고 종류에 대해서 비교 설명하시오

목차

1. 실험설계의 개념과 목적

2. 실험설계의 종류
1) 전 실험설계
2) 유사 실험설계
3) 순수 실험설계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들어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책임성이 증대되면서 관심의 폭이 넓어진 조사방법이 바로 실험설계다. 즉,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당초 설정한 목표를 적절히 달성하고 있는지를 보여 주는 방법으로 실험설계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 실천의 과정에서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여러 외부자원이 투입되는데 이들에게 실천의 성과(outcome)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과정에서 실험설계가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사회복지연구자는 물론이거니와 사회복지 실천가도 실험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제 활용방법을 익히는 것은 중요하다.
실험설계는 사회 환경 안에서의 특정 현상이나 인간행동의 정확한 원인을 실험이라는 방식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많은 조사방법은 원인과 결과 사이에 놓여져 있는 많은 매개요인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함으로써 과연 특정 현상이나 인간행동에 대해 조사자가 가정하고 있는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확신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실험설계는 다양한 변수를 실험실에서의 실험과 같이 적절히 통제할 수 있어서 특정 현상과 인간행동이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되었는지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실험설계는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어떤 조사를 해야 하는지 적절히 계획을 수립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 연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오류를 최소화함으로써 결국 통제된 연구(controlled inquiry)가 가능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빈곤계층의 자립을 위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창업을 위한 소액신용대출(Micro Credit)의 효과성 검증에 이러한 실험설계의 개념을 활용하여 설명하면 보다 그 개념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즉, 비슷한 사회경제적 수준의 빈곤계층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소액신용대출지원을 통해 창업 등의 기회를 제공하고 한 집단은 어떠한 지원도 하지 않으면서 다른 개입이 없도록 두 집단을 적절히 통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