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척도, 측정 수준과 자료분석방법(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목차

I. 자료분석방법의 유형
1) 기술통계와 추론통계
2) 모수통계와 비모수통계

II. 측정 수준과 자료분석 방법

III. 자료분석방법
1) 빈도분석
2) 교차분석
3) 독립표본 t-검정
4) 분산분석
5) 상관관계분석
6) 회귀분석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자료분석방법의 유형
1) 기술통계와 추론통계
통계는 기술통계와 추론통계로 구분할 수 있다. 기술통계는 조사를 통해 수집된 표본 또는 모집단의 자료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기법이다. 조사된 자료에 대해 추정하거나 설명하는 것이 아닌 자료에 대한 특성을 기술하거나 요약하는 것이다. 추론통계는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의 특성에서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하는 기법이다. 통계적 추론은 표본의 특성인 통계치를 가지고 모집단의 특성인 모수치를 추정하는 것과 표본의 특성으로 모수와 관련된 가설을 검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모수통계와 비모수통계
모수통계와 비모수통계를 구분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의 성격에 대해 모수통계의 경우 표본자료가 정규분포를 가정하는 모집단에서 추출되고 표본들이 추출된 모집단의 분산은 동일해야 한다. 둘째, 통계에 사용되는 자료의 성격이 모수통계는 등간 척도와 비율 척도의 자료 분석에 유용하고, 비모수통계는 서열 척도와 명목 척도의 분석에 유용하다.

II. 측정 수준과 자료분석방법
조사를 위해 질문을 작성할 때 앞에서 살펴본 명목 척도, 서열 척도(이상 비연속 척도), 등간 척도, 비율 척도(이상 연속 척도)의 네 가지 척도를 활용해서 만들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척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를 설계하는 단계에서부터 조사된 자료를 대상으로 어떤 통계분석방법을 활용할 것인지를 점검한 후 적용할 분석방법에 적합한 척도를 활용한 질문지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