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 교수법의 흐름
2. 교재에 반영될 교수법에 대한 예측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한국어 교수법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른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한국어 교수와 학습이 추구하는 최종적인 목표일 것이다. 그와 같은 의미에서 볼 때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라서 교수법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수법 설계의 기본적인 원리는 언제나 동일하게 발전되어 온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어 능력을 좀 더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교수법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혼합 교수법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계속적으로 한국어 교수법도 변화되어 왔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어 교수법의 역사 개관의 순서는 어떻게 될까? 첫째, 문법-번역식 교수법, 둘째, 직접 교수법, 셋째, 청각 구두식(청화식) 교수법, 넷째, 침묵식 교수법, 다섯째, 인지주의적 교수법, 여섯째, 의사소통적 교수법이 그의 순서이다. 이러한 변화를 거듭해온 한국어 교수법은 과거의 교수법이 완전히 탈락되었다기보다는 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발전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실제 수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수법을 보면 한 가지만을 고집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것이다. 다양한 교수법이 실제 수업 현장에서 수평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