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서사와B급문화_로맨스와 멜로드라마의 장르적 특성

목차

1. 한국 사회와 드라마
2. 멜로 드라마와 로맨스 드라마
3. 멜로드라마와 사회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한국 사회와 드라마
‘더글로리’, ‘일타스캔들’, ‘슬기로운 의사생활’ 등 한국 사회에서 드라마는 모든 사람의 일상 한편을 차지하고 있다. 아무리 드라마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거침없이 하이킥’, ‘신사의 품격’, ‘아내의 유혹’, ‘넝쿨째 굴러온 당신’, ‘솔약국 집 아들들’과 같은 드라마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짧은 클립 영상으로라도 보았을 것이다. 이러한 드라마에는 언제나 러브 라인이 등장한다. 특히, 방송 3사(KBS, SBS, MBC)에서 제작하는 드라마 중, 주말 드라마의 경우 이런 러브 라인이 돋보이는 구성을 유지하는 경향이 크다.
그렇다면 연애 감정이 조금이라도 드러나는 드라마는 모두 멜로드라마라고 해도 되는 것일까? 아마 아닐 것이다. 드라마에 러브 라인이 있다고 해서, 해당 드라마의 장르가 항상 로맨스나 멜로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럼 어떤 조건이 만족하여야 로맨스나 멜로의 영역에 발을 들이는 것일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드라마의 장르적 특성에 대해 말하기 전에, 드라마 자체의 특성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드라마란 텔레비전 내에서 시간·공간적 연속성을 지니며, 일정한 배경 내에서 인물이 등장하고, 인물이 교류하며 사건이 발생하고 해소되는 구성과 전개 방식을 지닌 어떤 창작물이다. 이러한 드라마의 주요 사건은 등장인물 및 인물 간의 상호관계에 기반하며, 이러한 등장인물 중 출연 비율이 가장 높은 인물을 주인공이라 칭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