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 가족구성원들의 저항
3. 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출생하고 사망할 때까지 발달하고 성장한다. 그중에서 인간은 개개인의 특성이 다르고 성격도 다르다. 프로이트는 정신 분석 창시자이며, 사람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판단했다. 인간을 결정론적이고, 비관적이라고 하였다. 생리적 충동, 본능을 만족을 시키려는 욕망이 잠재되어있는 생명체라고 보았다. 인간은 비이상적이고, 감정적, 비논리적이며 자신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잠재되어있는 경험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보통의 내담자는 자유연상 과정에서 어느 지점에 도달을 하면 순간적으로 연상을 멈춘다. 내담자는 “아무 생각도 나지 않네요. 더 이상 떠오르는 것이 없습니다.”라고 침묵을 한다. 이것은 저항의 한 현상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더 이상의 기억을 원치 않는 정신 내부의 어떠한 저항하는 힘에 의해서 발생을 한다. 저항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정신분석가의 지적, 정서적인 능력을 의심하거나, 화를 내거나 애정 표현을 비롯한 요구를 하거나, 심하면 분석을 중단한다. 즉, 내담자는 정신분석가가 더 이상 본인의 무의식에 접근을 하지 못하게 여러 유형의 저항을 통해서 정신분석의 진행을 방해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