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실 수업에서 교육공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어떻게 활용이 가능할지 설명하시오.
2. 미국교육공학회(AECT)에서 제시한 1994년 교육공학의 정의와 2004년 교육공학의 정의를 비교하시오.
3. 학습이론의 변화과정을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관점에서 설명하시오.
4. 최근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역량에 대해서 논의하시오.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교실 수업에서 교육공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어떻게 활용이 가능할지 설명하시오.
교실 내에서, 학생의 특성이나 수준, 흥미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수업의 흥미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교사와 교수자 모두에게 힘든 시간을 만든다. 즉, 교육이 실제적인 의미를 얻기 위해서는 교수행위와 관련된 모든 부분에서 적절한 연구와 탐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 교육공학이다.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이란, 교육이 제시하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 중, ‘어떻게’를 의미한다. 교육 방법의 효과 및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곧 교육공학이라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 교육공학이란 교육과 공학의 합성어로써, 교육을 위한 기술이라 직역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교육에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학문의 특성에 있다. 학문은 그 종류에 따라 각자의 특성을 가진다. 공학이란 과학적·사회적·경제적 원리와 실용적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건축·조형물, 시설 등을 만드는 것에 관한 학문이다. 즉, 실체가 없는 지식을 방법으로 활용하여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든다. 이러한 특성은, 교육이 가지는 특성과도 그 맥락을 같이한다. 두 학문 모두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무언가를 실천하는 행위이다. 또 이를 구성하는 항목에서도 유사성이 존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