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토양은 지구상의 생명체와 자연 환경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땅은 농작물과 식물이 자라고 동물들이 서식하는 장소로서 농업, 생태계, 생물 다양성, 그리고 식량 공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물을 정화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기후 변화를 완화하는데도 기여한다. 따라서 인류에게 토양의 중요성은 매우 크며, 이를 보호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세계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각종 폐기물과 유해화학물질로 인해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박정준(2008)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전국에 산재하는 유류 및 유해물 관련시설, 군부대시설, 휴·폐광산, 폐기물매립지 및 소각장 등에서 발생한 침출수 등의 점 오염원과 골프장, 농경지 등 기타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의 증가로 인해 2006년에 전국 3,794개 지점에 대한 토양측정망 및 실태조사 결과에서 90개 지점(2.4%)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 이중 37개 지점(1.0%)이 토양오염대책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한편, 국가지하수정보센터는 우리나라의 164만 개의 관정에서 연간 29.1억 세 제곱미터에 달하는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농업용수가 가장 많은 실제 이용량을 차지한다. 오염된 토양에서 자라는 작물은 중금속을 흡수하고 축적할 수 있다. 이러한 작물이 인간 식품으로 섭취되면 중금속 중독의 위험이 증가한다. 토양 중금속이 지하수로 침투할 경우, 지하수가 중금속에 오염될 수 있다. 지하수를 이용하는 관정 중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위한 관정이 83만 개(2018년 기준)로 제일 많다는 점에서도 지하수 오염이 국민의 건강에 얼마나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지를 예상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