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가상으로 나만의 한국어 교실 만들어보기
1) 한국어 강의실 설정
2) 수강생 규모
3) 학생들의 한국어 수준
2.한국의 역사적 사실 수업하기
1) 수업 주제와 내용
① 세종이 누구인지 알아보기
② 훈민정음 창제에 관련하여 알아보기
③ 조선의 과학기술 발달에 대해 알아보기
④ 집현전에 대해 알아보기
2) 주제를 선택한 이유 및 필요성
3) 학습 내용 전달 방법 및 수단
3.맺음말
4.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가상으로 나만의 한국어 교실 만들어보기
1) 한국어 강의실 설정
강의 대상은 외국 초등학생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연령은 4학년부터 6학년 정도의 아이들로 한국 나이로 11살~13살 정도이다. 이 학생들로 선정한 이유는 한국 학생들도 5학년 사회 교육과정에서부터 역사가 본격적으로 나오기에 외국 학생일 경우에는 저 정도 나이는 되어야 한국 역사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2) 수강생 규모
수강생은 약 20명 정도로 하겠다. 대한민국 초등학교의 평균 학급 당 학생수는 25명 이하 정도이고 유아도 마찬가지이다. 내 스스로 생각하기에 한 학급에 25명은 조금 많은 수라고 생각하기에 적정수준인 20명으로 설정하겠다.
3) 학생들의 한국어 수준
학생들의 한국어 수준은 국제학교에 다니는 외국인 학생으로 설정하였는데, 기본적인 한국어 실력은 갖추고 있다고 설정했다. 이 연령의 학생들은 한국어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기본적인 언어능력을 갖추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한국어로 간단한 문장을 만들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단어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완벽한 한국어 구사는 힘들 것 같다. 문법적 오류나 어색한 표현이 있으며 어려운 주제는 이해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수업 시 어려운 단어, 주제에 대해서는 최대한 쉬운 한국어로 설명해주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대하여 이해를 잘 하고 있는지 중간 확인을 하여 학생들의 수업 이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2. 한국의 역사적 사실 수업하기
1) 수업 주제와 내용
-수업 주제: 세종대왕의 업적과 조선의 발전 모습
-수업 내용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