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례
2. 간호진단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례 62세의 김 씨는 심한 흉골하 통증으로 응급실에 입원하였다. 김 씨는 점심 식사를 한 후, 4시간 전부터 흉통이 시작되었는데 처음에는 소화불량처럼 가슴이 답답하게 느껴졌으나 가슴이 활활 타는 듯하게 통증이 심해지면서 질식할 것 같았다고 하였다. 김 씨는 숨이 가쁘고, 식은땀도 흘렸으며 휴식을 취하고 니트로글리세린 0.4mg을 3번이나 혀밑으로 투여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완화되지 않았다고 했다.
의료진은 김 씨에게 산소를 5L/m…<중 략>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1시간마다 V/S,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2. 4시간마다 맥박 리듬과 강도, 맥박의 결손유무를 관찰한다.
3. 4시간마다 폐를 청진한다.
4. 심전도를 측정한다.
[진단적 계획]
1.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는 심장역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2. 심실 기능이 약하고 심실의 수축력이 떨어져 동맥압이 하강하고 요골의 맥박이 약해진다. 또한 맥박이 소실될 수 있으므로 맥박 결손 여부를 파악한다.
3. 수포음은 심근경색의 합병증 중 하나인 급성 폐수종을 의미할 수 있다. 급성 폐수종의 증상으로 호흡곤란, 수포음, 흉부 압박감 등이 발생한다.
4. 심근 허혈로 인한 심근 손상 후 합병증으로 부정맥이 나타나는 것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