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배경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발달력
5. 가족력
6. 정신상태 사정
7. 의학적 진단명 및 정의
8. 임상병리검사
9. 임상심리검사
10. 의사의 치료계획
11. 문헌고찰
12. 간호과정 적용
13.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정일의
주증상
(XX. X. X)
– delusion of control: “(머리에 있는 딱지를 보여주며) 이거봐… 여기 뭐가 있지. 이 미세침으로 나를 조종해서 자꾸 내가 피곤한거야…”, “누가 나를 조종해… 경찰일수도 있고 행정부일 수도 있고…”
– delusion of somatic: “걷는 느낌이 이상해…(종종걸음으로 다리를 어깨너비로 벌려걸으며) 이렇게 걸으면 괜찮은데, (정상적인 걸음걸이로 걸으며) 이렇게 걸으면 이상해. 아프고 넘어질 거 같아…”
입원 당시의
주증상
– aggressive behavior: 주민에게 욕설, 폭언으로 공격적인 행동 보이며 경찰 신고됨.
– persecutory delusion: “계속해서 나는 피해를 입어요.”, “병원에 올 필요 없는데 저 사람들이 데려온 거에요”, “집주인, 건물주가 나를 괴롭히려고…”
– hallucination: “일부러 나에게 쌀벌레를 나오게 하고, 이상한 큰 모기가 나를 쫓아다니고…”
– delusion of control: 미세침이 나를 조종한다며 경찰에 하루 100회 신고함.
입원 동기
XX. XX 정신건강센터 의뢰. 물건 집어던지고 욕설, 폭언 등 주민에게 공격적인 성향 보여 경찰 신고되었음. 망상, 환각 등의 양성증상이 보이며, 특히 피해망상으로 경찰에 하루 100회 신고한 이력 있음. 올해 집에서 강제 퇴거되어 의정부 찜질방에서 거주하는 중임. 정신과 약 복용이력 없음.
입원일부터
사정일까지의
병동 생활
입원 후 초반에는 폭력성과 자·타해 위험성이 높아 격리되었으나, 격리 해제 이후 공격성은 보이지 않으나, 지속적인 조종망상 및 신체망상 증상을 보임. 병동 내 프로그램에 활발히 참여하지 않으며 수면 중인 모습이 자주 관찰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