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SWOT 분석
3) 우선순위 설정
4) 목표설정
5) 전략 및 세부 계획 수립
6) 근거제시
본문내용
1) 자료수집
① 지리적 특성
– 위치: 서울시 동북단 위치, 경기 의정부시, 구리시 관문임.
– 면적: 35.44㎢ (서울시 5.9%)
· 주거(35.7%), 상업(1.6%), 녹지(62.7%)
· 주거생활 지역으로 수락산, 불암산 등 녹지공간 풍부
– 행정구역 : 19개 행정동
– 주택 : 아파트 79.7%, 단독 13.7%, 연립 6.5%
· 아파트 밀집 지역으로 15.6%가 영구 임대 아파트
━━━━━━━━━━━━━━━━━━━━━━━━━━━━━━━━━━━━━━━━━━━━━━
② 인구학적 특성
– 기본인구
· 전체 인구
‣ 2021년 510,956명(서울시 5.4%/서울시 11번째)으로 전체인구는 지속 감소추세임
‣ 유소년 인구 및 생산인구가 계속 감소하는 반면, 고령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음
· 동 별 인구
‣ 인구가 많은 상위 3개동은 공릉2동>상계1동>공릉1동 순으로 전체인구의 22.5% 차지
– 인구 동태
· 저출산 현황
‣ 합계출산율(가임기여성 1명당)은 지속 감소추세로 매년 전국보다는 낮으나 서울시 평균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임.
‣ 2021년 0.7명으로 초저출산 수준 (1.3명) 미만임.
· 고령화 현황
‣ 노인인구는 급속한 증가추세로 2021년 전체인구의 17.3%를 차지하며, 전국, 서울시보다 노인인구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노인인구(88,271명)는 서울시 자치구 중 3번째로 많고, 독거노인 수(23,770명)도 2번째로 많음
‣ 노년부양비(15~64세 인구 65세 이상 인구)는 24.0%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전국, 서울시 대비 증가 속도가 빠름. 노령화지수(0~1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는 163.1%로 서울시와는 근소한 반면 전국과는 격차가 큼.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